본문 바로가기
all kinds of stuff

청년희망적금2022

by 다듯 2022. 2. 19.
반응형

2022년 2월 21일부터 시작되는 청년희망적금은  일하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금융상품입니다. 저축 장려금 최대 36만 원과 비과세 혜택까지 더하면 연 9~10%대 금리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봅시다.

청년희망적금

1. 대상

1) 연령: 만19세 이상만 34세 이하인 청년

 **병역이행을 했을 때 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계산에서 제외함

2) 소득: 총 급여 3,600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기준으로 개인소득이 2,600만 원 이하인 청년

 **2019~2021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불가

 **소득이 전혀 없는 청년은 가입 불가(다만, 2021년 1월-12월 과세기간에 소득이 확인되면 가입 가능)

3) 대상 여부 확인: 시중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상품이 정식으로 출시됐을 때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2. 혜택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1) 매월 5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연 납입한도 600만 원)

   중간에 납입액 변경 가능하고 한 달 내 분납도 가능

2) 24개월(2년) 만기

3) 시중 이자에 더해 장려금 지급: 1년 차 납입액에 대해 2%, 2년 차는 4% 장려금(최대 36만 원 지급)

4) 적금을 통해 지급받는 이자소득에 한하여 올해 안에 가입하면 비과세 혜택(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자가 2024년 12월 31일까지 받는 이자에 한하여 적용됨)

5) 청년 우대 금융상품 가입자도 중복 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3. 계좌 개설 방법

총 11곳의 시중 은행 중 1곳을 선택하여 은행 방문이나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기본 이자는 동일하지만 각 은행마다 우대금리가 다릅니다.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신청 가능 은행 우대금리

국민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연 6.0%

기업은행- 5.9%

하나은행, 우리은행- 연 5.7%

부산은행, 대구은행, 제주은행- 연 5.5%

광주은행, 전북은행- 연 5.2%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매월 50만 원을 2년 간 납부했을 경우 최고금리 연 6.0% 적용해봅시다.

만기이자 75만 원+정부지원 저축장려금 36만 원= 총 111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이 되는 분들은 꼭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